윈도우10이나 다른 운영체제에서 파일을 복사하거나 이동할 때, 진행 창에 `남은 시간 계산 중`이라는 메시지가 계속 뜨는 현상을 겪은 적 있으신가요? 이 메시지가 너무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복사가 지연된다면, 단순한 네트워크 오류가 아니라 저장장치 간의 속도 차이나 포맷 구조의 불일치, 또는 시스템 세팅 오류일 수 있어요. 특히 SSD, USB, 스마트기기처럼 처리속도가 각기 다른 장치 간 이동이라면 이 문제가 더 심해질 수 있어요. 이 글에서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지, 어떤 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 시스템 설정까지 포함해 차근차근 정리해드릴게요.
파일 복사 시 `계산중` 상태가 지속되는 이유
파일을 옮기거나 복사할 때 `계산중`이라는 상태가 오래 지속된다면 이는 디스크 병목현상 또는 시스템의 캐시 처리 방식 때문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SSD에서 USB로 파일을 옮기는 경우, SSD는 매우 빠른 반면 USB는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속도 차이로 인해 병목이 발생하게 돼요. 이때 윈도우는 중간에서 캐시(Cash)를 생성하여 병목을 줄이려고 하지만, 장치 자체의 한계로 계산시간이 길어지는 경우가 많답니다.
두 저장매체 간 처리속도 차이
SSD는 초당 수백 MB 이상을 읽고 쓸 수 있는 빠른 저장장치에요. 반면 스마트폰이나 USB는 그 속도가 훨씬 느리기 때문에 데이터를 전송하려 할 때 SSD에서는 데이터를 빠르게 밀어내지만, 수신 측에서는 받는 속도가 늦어 생기는 병목현상이 있어요. 이럴 땐 윈도우가 중간에서 계산하는데 오래 걸리게 되는 거죠.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구조
- SSD에서 데이터를 빠르게 읽어냄
- USB 또는 스마트기기에서 수신 속도가 느림
- 중간에서 캐시 메모리로 임시 저장
- 캐시 공간이 꽉 차면 쓰기 속도가 느려짐
- `계산 중` 메시지가 사라지지 않음
디스크 성능 차이 외에도 USB 포트 성능이나 전송 방식(2.0, 3.0)에 따라도 속도 차이가 생겨요.
속도가 맞지 않는 두 저장장치 간의 전송은 병목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하면 같은 속도 수준의 장치 간 전송이 좋아요.
파일 전송 시 SSD↔USB처럼 극단적인 속도차가 있을 경우, '계산중' 오류가 생기기 쉬워요.
포맷 방식 차이로 인한 속도 저하
저장매체에는 다양한 포맷 방식이 있어요. exFAT, FAT32, NTFS 등 각 방식은 처리 가능 용량, 파일 크기, 속도 등에서 차이가 있답니다. 예를 들어 exFAT은 대용량 파일에 적합하지만 NTFS보다 복사 속도가 느릴 수 있고, FAT32는 4GB 이상의 파일을 복사할 수 없어요. 만약 두 장치 간 포맷 방식이 다르면 윈도우는 전환 과정에서 추가적인 작업을 하게 되어 속도가 저하될 수 있어요.
포맷 불일치 문제
- SSD: NTFS
- USB: exFAT 또는 FAT32
- 서로 다른 파일 시스템 간 전송 시 변환 작업 발생
- 버퍼 처리 지연 및 병목현상 유발
- 속도 저하와 `계산중` 지속
파일 시스템은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전송 속도 최적화에 좋아요.
USB나 외장하드를 사용하기 전에는 가능하면 포맷 방식을 NTFS로 맞춰두는 것을 추천해요.
NTFS vs exFAT 차이로 인한 지연을 줄이려면 동일 포맷 권장!
윈도우 설치 구조에 따른 병목 발생
윈도우10으로 업그레이드한 이후 디스크 사용률이 100%에 가까워지고 복사 속도도 떨어진 경우가 있어요. 이건 단순한 윈도우 문제보다도, 설치 방식이 메인보드 구조와 맞지 않아서일 수 있어요. BIOS에는 UEFI와 Legacy 두 가지가 있고, 저장장치는 GPT와 MBR 구조가 있어요. 이게 서로 맞지 않으면 시스템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더 많은 자원을 소모하게 되어 복사 속도나 계산 시간에 영향을 줄 수 있어요.
설치 구조 불일치가 불러오는 문제
- UEFI 메인보드에 MBR 설치 USB 사용
- Legacy 시스템에 GPT 포맷 사용
- 버퍼링 발생 및 디스크 사용률 급증
- 복사 속도 느림 및 오류 메시지 지속
- 윈도우 재설치 필요
구조가 맞지 않으면 시스템이 혼란을 일으켜 전송에도 영향을 줘요.
윈도우 설치 시엔 메인보드 설정과 디스크 구조가 호환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해요.
Legacy는 MBR, UEFI는 GPT로 맞춰 Rufus 같은 툴에서 설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