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 윈도우 10이나 윈도우 11을 설치하려고 설치 USB를 연결했는데, BIOS(바이오스)에서 부팅 장치로 인식되지 않는다면 꽤 당황스러울 거야. 특히 오래된 PC에서는 이런 문제가 더 자주 발생할 수 있어. 보통 이런 증상은 USB S3 Wake-up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야. 이 기능을 활성화하면 설치 USB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부팅할 수 있어.
만약 윈도우가 잘못 설치된 상태에서 USB 저장장치를 아예 읽지 못하는 경우라면, 원인이 다를 수도 있어. 이 경우는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며, 설치 USB 제작조차 불가능할 수 있어. 이런 상황이라면 다른 PC를 이용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해.
설치 USB가 BIOS(부팅 메뉴)에서 인식되지 않는 이유 🖥️🚫
- ⚙️ BIOS 설정 문제 → USB S3 Wake-up 기능이 비활성화됨
- 🚀 Fast Boot 활성화 → USB 장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 있음
- 🔌 USB 포트 문제 → USB 3.0(파란색) 대신 USB 2.0(검은색) 사용 필요
- 💾 설치 USB 오류 → 부팅 가능하게 제작되지 않았거나 손상됨
- 🔄 CSM 설정 비활성화 → UEFI 모드에서만 인식되거나 호환성 문제 발생
설치 USB가 BIOS에서 인식되지 않는 가장 흔한 원인은 BIOS 설정 문제, USB 포트 호환성, 또는 설치 USB 자체의 문제 때문이야. 특히, 노트북이나 특정 메인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USB 부팅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이때 USB S3 Wake-up 기능이 꺼져 있으면 설치 USB가 부팅 장치로 감지되지 않을 수 있어. 또한, Fast Boot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USB 장치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그 외에도 USB 3.0 포트 대신 USB 2.0 포트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어. 일부 메인보드는 USB 3.0 드라이버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지. 또, 설치 USB 자체가 손상되었거나 부팅 가능하게 제작되지 않았다면 BIOS에서 아예 감지되지 않을 수도 있어. 따라서 BIOS 설정을 변경하고, 포트를 바꿔보며, 설치 USB를 다시 만들어보는 것이 중요해.
1️⃣ BIOS에서 USB S3 Wake-up 기능 활성화 🖥️🔧
- 🔌 컴퓨터 전원 끄기 → 설치 USB 장착 후 다시 전원 켜기
- ⌨️ BIOS 진입 → F2 또는 Del 키 연타
- ⚙️ Advanced(고급) > USB 항목 이동
- ✅ USB S3 Wake-up 기능 Enable(활성화)
- 💾 Save Changes and Reset(저장 후 재부팅) 선택
설치 USB가 BIOS에서 인식되지 않는 가장 흔한 원인은 USB S3 Wake-up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이야. 특히 노트북에서는 기본적으로 이 기능이 꺼져 있는 경우가 많아. 이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먼저 컴퓨터를 완전히 종료한 후 설치 USB를 장착하고 전원을 켜자마자 F2 또는 Del 키를 연타해서 BIOS에 진입해야 해. BIOS 화면에서 Advanced(고급) > USB 항목으로 이동한 후, USB S3 Wake-up 옵션을 Enable(활성화)로 변경해 줘. 삼성 노트북의 경우 메인 화면에서 이 설정을 바로 변경할 수 있어. 설정을 변경한 후 Save Changes and Reset(저장 후 재부팅)을 선택하고, 다시 BIOS에 들어가 USB가 인식되는지 확인해 보자.
2️⃣ 부팅 관련 추가 설정 변경 ⚙️🚀
- 🏃♂️ Fast Boot 끄기 → 외부 장치 인식 문제 해결
- 🔄 BOOT 순서 변경 → USB 부팅을 1순위로 설정
- 🔍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 활성화 → UEFI 지원 여부 확인
- 💾 설정 저장 후 재부팅
USB S3 Wake-up을 활성화했는데도 여전히 설치 USB가 BIOS에서 보이지 않는다면, Fast Boot 기능을 끄고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할 수도 있어. Fast Boot는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해주지만, 외부 장치를 정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거든. BIOS에서 BOOT 탭으로 이동한 후, Fast Boot 옵션을 Disable(비활성화)로 변경해 줘.
그리고 BOOT 순서를 설정할 때 USB 장치를 1순위로 변경해야 해. 일부 노트북에서는 UEFI 모드에서만 USB 부팅이 가능하므로, 필요하다면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 설정을 활성화하는 것도 방법이야. 설정을 마쳤다면 Save & Exit(저장 후 종료)를 선택하고 다시 부팅해 보자.
3️⃣ 설정 후에도 설치 USB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
- 🔌 USB 포트 변경 → USB 3.0(파란색) 대신 USB 2.0(검은색) 사용
- 🖥️ 다른 PC에서 설치 USB 테스트 →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
- 🛠️ 설치 USB 다시 제작
- 🔄 BIOS 초기화 및 최신 버전 업데이트 고려
모든 설정을 변경했는데도 여전히 BIOS에서 설치 USB가 보이지 않는다면, 하드웨어적인 문제일 가능성도 있어. 먼저 USB 포트를 변경해 보자. 특히 USB 3.0(파란색 포트)보다는 USB 2.0(검은색 포트)을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정적이야.
그래도 인식이 안 된다면, 설치 USB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다른 PC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테스트해 보는 것이 좋아. 만약 다른 PC에서도 인식되지 않는다면, 설치 USB를 다시 제작해야 해.
4️⃣ 올바른 설정으로 설치 USB 인식하기 ✅💡
- 🖥️ BIOS 설정 확인 → USB S3 Wake-up, Fast Boot, BOOT 순서 조정
- 🛠️ USB 포트 변경 & 설치 USB 상태 점검
- 🔄 설치 USB 다시 제작 & BIOS 업데이트 고려
- 🚀 모든 설정 적용 후 재부팅하여 정상 인식 확인
설치 USB가 BIOS에서 인식되지 않는 문제는 대부분 BIOS 설정 문제, USB 포트 문제, 또는 설치 USB 자체의 문제 때문이야. 가장 먼저 USB S3 Wake-up 기능을 활성화하고, Fast Boot를 끄고, 부팅 순서를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해. 그래도 해결되지 않는다면 USB 포트를 변경하거나 설치 USB를 다시 제작해 보는 것도 필요해.
만약 모든 방법을 시도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메인보드의 BIOS 버전을 업데이트하거나, 다른 PC에서 윈도우를 설치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해. 올바른 설정을 적용하면, 결국 설치 USB를 정상적으로 인식하고 윈도우 설치를 진행할 수 있을 거야! 😊💻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설치 시 디스크 용량 0mb일 때 해결방법 (2) | 2025.02.25 |
---|---|
그래픽카드 사용 안 함 선택 후 화면 출력 문제 해결 방법 (13) | 2025.02.25 |
윈도우 11 인터넷 속도 저하 및 끊김 문제 (회선 문제 vs. 컴퓨터 문제) (0) | 2025.02.24 |
Administrator 계정 비활성화 하는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5.02.24 |
윈도우 폴더크기 창 조절이 안되는 이유 및 해결방법 (2) | 2025.02.22 |
DRIVER_POWER_STATE_FAILURE 중지코드 해결방법 (0) | 2025.02.21 |
윈도우 디펜더 vs V3, 알약, Avast 비교 – 백신 프로그램 정말 필요할까? (2) | 2025.02.21 |
인텔 CPU 불량 확인 테스트 방법 (0) | 2025.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