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Windows) 설치 후 인터넷이 된다고, 별도의 드라이버를 새로 잡아주지 않는 분들이 많은데, 이렇게 사용하게 되면 제 성능 발휘를 하지 못할뿐더러 SSD나 HDD에 문제를 일으키게 됩니다. 드라이버라는 것은 하드웨어(부품)의 소프트웨어를 말하는 것으로 이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하드웨어(부품)가 제대로 구동되지 못하게 되고 인식이 됐다가 안 됐다가 하는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 과정 속에 제일 먼저 대미지(Damage)를 입는 곳은 SSD와 HDD입니다.
윈도우(Windows) 설치 후 별도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이유
포맷 후 윈도우(Windows) 설치를 했을 때 인터넷이 안 된다고 랜 카드 드라이버만 설치해주고 사용하는 분들이 계시거나 아예 포맷 후 윈도우(Windows) 설치를 하신 후에 인터넷이 된다고 아무런 드라이버를 설치해주지 않는 분들이 계십니다.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란?
드라이버는 하드웨어 구동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설치를 해주어야 정상적으로 하드웨어(부품)들이 인식되어 구동이 이뤄지게 됩니다.
장치 관리자(devmgmt)에 경고 표시가 없으면 상관 x?
장치 관리자(devmgmt)에 경고 표시가 없다면 드라이버가 모두 잡힌 거라 설치할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DCH 드라이버로 잡혀있어서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도 있지만, 누락된 드라이버가 있어도 장치 관리자(devmgmt)에 나타나지 경고 표시를 띄우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무조건 장치 관리자(devmgmt)를 믿어서는 안 됩니다.
블루스크린 커널 오류(Blue Screen Kernel Error)가 뜬 적이 있는 경우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 장치가 인식이 됐다가 안됐다가 하는 증상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런 과정 속에 제일 먼저 대미지(Damage)를 입는 곳은 SSD와 HDD입니다. 이미 블루스크린 Kernel 코드가 나타났다면 불량 섹터(bad sector)가 발생한 상태로 SSD와 HDD 점검을 해보셔야 합니다.
윈도우(Windows) 설치 후 별도의 드라이버(소프트웨어)를 설치 방법
각 메인보드마다 잡아주어야 하는 드라이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드라이버 부스터(Driver Booster)를 통해 드라이버를 잡아주시면 됩니다. 다만, Intel Me가 탑재된 메인보드의 경우는 이 버전에 따라서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블루스크린이나 화면이 멈추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Intel Me의 경우는 제조회사에서 다운로드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 드라이버 부스터(Driver Booster) 다운로드
- 드라이버 부스터(Driver Booster) 설치 및 검사 진행
- 1968년, 2006년 버전, 누락된 드라이버의 경우 선택 - 무조건 최신 버전이 좋은 게 아님
- 지금 업데이트 클릭
마무리
장치 드라이버(Device Driver)만 잡았다고 윈도우(Windows)가 완전히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된 것은 아닙니다. 별도의 기타 설정과 본인의 사용 목적에 맞게끔 기본세팅을 해주어야 합니다. 프로그램 설치가 안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게임이 튕기는 경우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포맷 후 윈도우(Windows) 설치, 드라이버를 잡고 끝나는 것이 아닌 본인이 사용하는 목적에 맞게 끔 기본 세팅(Default Setting)을 하는 것도 아주 중요한 작업입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gitech cordless device 느낌표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12.13 |
---|---|
발로란트 업데이트 중지됨 오류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12.11 |
윈도우11 마우스 우클릭 메뉴 윈도우10 모양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2.12.08 |
유튜브 인터넷 연결 오프라인 상태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12.05 |
인터넷 속도를 저하시키는 요인들(설정, 프로그램, 통신사 등) (0) | 2022.11.30 |
램 플러스(RAM Plus) 조절 기능 안드로이드 13 업그레이드 추가 (0) | 2022.11.29 |
롤 핑 도는 현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대칭형 및 속도 저하 프로그램) (0) | 2022.11.28 |
컴퓨터 드라이버 설치 후 버벅거림 증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