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모바일

메인보드 Z690, Z790 멈춤 증상 발생원인(블루스크린, VSS 오류)

고어웨이 2023. 4. 17. 11:01

윈도우 11에 최적화되어 나오는 Z 6세대 보드에서는 이상하게도 결함이 심합니다. 크몽을 통해 의뢰를 주신 분들 중 화면이 멈추거나 인코딩 도중에 멈춤, 그냥 가만히 둬도 멈추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멈춤 혹은 블루스크린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들의 공통점은 Z690 보드 혹은 Z790 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라는 점과 윈도우가 정상적으로 설치됐음에도 VSS 오류를 띄웁니다.

 

이러한 분들은 결국 정상적으로 윈도우를 설치해드리고 나서는 증상이 완화됐지만, 얼마가지 않아 VSS 오류를 띄우고 블루스크린 오류 코드를 띄우면서 멈추는 증상이 다시 생겨나게 됩니다.

 

 

메인보드 Z690, Z790 멈춤 증상 원인

  1. 윈도우 설치 당시 설치 USB가 GPT 구조가 아닌 경우
  2. 윈도우 설치 당시 TPM, 보안부팅 등 바이오스 설정이 잘못된 경우
  3. 외장 그래픽카드 구동 시에만 멈추는 경우

 

Z6세대부터는 윈도우 10의 호환성이 좋지 못하고 대부분 윈도우 11 중점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z6세대 이상에서 윈도우 10을 설치하게 되면 호환성 문제 혹은 랜 카드 드라이버의 문제로 엄청나게 버벅거리는 증상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윈도우 11로 설치를 하게 되는데 윈도우 11 설치 시 TPM이나 기타 설정들이 잘못된 경우로 멈춤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외장 그래픽카드 구동만 되면 이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외장 그래픽카드를 분리하고 내장 그래픽으로 구동시키면 아무런 문제 없이 사용이 또 가능해질뿐더러 오히려 외장 그래픽카드를 꼈을 때보다 더 빠른 체감이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메인보드 Z690, Z790 멈춤 증상이 나타난 보드 종류

  1. GIGABYTE z690 aorus elite
  2. ASUS ROG STRIX Z690
  3. MSI Z690 EDGE DDR4
  4. MSI Pro Z690-a wifi ddr5
  5. ASUS PRIME Z690-A
  6. asus ROG MAXIMUS Z790 APEX

 

현재 이 6개의 보드에서는 크몽 의뢰인님들에게서 멈춤 증상이 나타났고 멈춤 증상이 사라진 보드는 MSI 보드 두 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 보드 자체의 결함이거나 그래픽카드 구동이 멈춤, SSD 오류로 나타나서 모두 보드를 5세대로 낮추셨습니다.

 

5세대와 6세대의 CPU 소켓이 달라 당연히 CPU도 같이 교체하셨다고 합니다.

 

 

윈도우 설치 당시 설치 USB가 GPT 구조가 아닌 경우

조립 컴퓨터의 경우는 메인보드 구조가 UEFI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 USB 또한 GPT 구조인 것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정품 구매 시 지급되는 USB나 마이크로소프트 툴에서 제작해 주는 방식은 MBR 혹은 ARM 방식에 맞는 것이기에 구동 오류가 생기곤 합니다.

 

설치 당시 설치 USB를 장착 후 Diskpart 명령어를 통해 GPT 구조인지를 우선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1. Windows Key와 q키를 눌러 검색 창을 열어줍니다
  2. powershell을 검색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해 줍니다
  3. Diskpart 입력 후 엔터를 합니다.
  4. List disk 입력 후 엔터를 합니다.
  5. GPT 부분에 설치 USB에 * 표시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Powershell 실행
Powershell 실행

 

 

아래의 사진처럼 Gpt 부분에 설치 USB가 * 이 없다면 ARM 혹은 MBR 방식으로 구동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MBR GPT 구분
MBR GPT 구분

 

 

윈도우 설치 당시 TPM, 보안부팅 등 바이오스 설정이 잘못된 경우

  1. RST 기능을 정상적으로 설정되지 못한 경우
  2. 바이오스 설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3. TPM 2.0 및 보안 부팅 활성화에 문제가 있는 경우

 

 

각 보드마다 바이오스 메뉴가 제각각인데 CPU가 인텔의 경우이고 M2 SSD를 사용한다면 RST 파일 로드를 시켜주어 설치가 이뤄져야 SSD 오류인 VSS 오류가 생기지 않습니다. 그러나, 알려드린 보드에서는 RST 기능을 켜는 게 없었습니다.

 

드라이버 로드를 시켜서 읽혀준 보드의 경우는 VSS 오류가 생기지 않았지만, 드라이버 로드 없이 파티션이 나타난 경우에는 VSS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즉, 바이오스 설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 오류가 발생하며 윈도우 11에 필수로 필요한 보안부팅 활성화와 TPM 2.0이 꺼져있는 경우도 멈춤 증상이 생겼습니다.

 

 

VSS 오류 발생
VSS 오류 발생

 

 

이러한 VSS 오류는 부팅 시에만 띄운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장 그래픽카드 구동 시에만 멈추는 경우

본체에서 외장 그래픽을 탈거하고 내장그래픽으로 돌렸을 경우 멈춤 증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습니다. CPU의 모델명에 F가 붙은 경우는 내장 그래픽카드가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을 테스트할 수 없습니다.

 

외장 그래픽카드를 분리 시에는 멈추는 증상이 없다면 아래의 경우입니다.

  1. 파워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2. 외장 그래픽카드 불량
  3. 메인보드의 불량

 

Z690 이상의 보드는 괴물 성능을 내기 위해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기 때문에 엔비디아 그래픽에서는 RTX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데 보조 전원이 들어가게 됩니다.

 

이 경우 더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파워의 전력이 부족한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파워의 불량이라면 와트(W)가 충족하지만 멈추는 증상이나 블루스크린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블루스크린 Driver
블루스크린 Driver

 

 

외장 그래픽카드 자체의 불량인 경우에는 특정 작업을 하지 않아도 멈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메인보드의 불량의 경우는 파워의 전력 부족 증상과 외장 그래픽카드 불량 증상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메인보드에 하나하나씩 옮겨가면서 부품 점검을 해야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