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갑자기 인터넷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하면 대부분 네트워크 설정을 의심하게 돼요. 하지만, 단순한 네트워크 설정 문제가 아니라 윈도우를 잘못된 방식으로 설치했을 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최신 메인보드는 UEFI 모드와 GPT 파티션을 기본으로 사용해야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MBR 방식으로 설치하면 처음에는 정상 작동하더라도 업데이트 후 인터넷 연결이 끊기거나, 드라이버 충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과거에는 Rufus나 Ventoy 같은 도구를 사용해 윈도우 설치 USB를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어요. 하지만, 요즘은 이런 방식이 권장되지 않아요. 특히 Ventoy의 경우 여러 ISO 파일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추가적인 바이오스 설정을 하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워요.
따라서, 윈도우를 제대로 설치하고 관리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Media Creation Tool)"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고 안전한 방법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 후 인터넷이 끊기는 원인과 이를 해결하는 올바른 윈도우 설치 방법을 알려줄게요.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 연결 안됨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 문제는 여러 가지 원인에서 발생할 수 있어요. 하지만, 단순한 설정 오류가 아니라 윈도우가 잘못된 방식으로 설치되었을 때 이런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요.
1. 발생 원인
- ⚠️ 윈도우 설치 방식 오류 (GPT/MBR 불일치)
- 🖥 UEFI 모드인데 MBR 방식으로 설치 → 부팅 및 네트워크 문제 발생🖥
- Legacy 모드인데 GPT 방식으로 설치 → 정상적인 작동 불가능🔄 드라이버 문제
- 📥 윈도우 업데이트로 인해 네트워크 드라이버 충돌 또는 손상
- 🌐 네트워크 설정 변경 : 🔄 업데이트 후 네트워크 설정 초기화 또는 변경으로 연결 차단
- ⚙️ 바이오스 설정 오류 : 🔒 Secure Boot, CSM 설정 오류 → 네트워크 어댑터 인식 불가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는 문제는 단순한 네트워크 설정 오류가 아니라 윈도우 설치 과정에서의 잘못된 설정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부팅 모드(UEFI/Legacy)와 디스크 파티션 형식(GPT/MBR)의 불일치, 업데이트로 인한 네트워크 드라이버 충돌, 바이오스 설정 오류 등이 있어요. 특히, 윈도우를 잘못된 방식으로 설치하면 초기에는 문제가 없더라도 업데이트 후 네트워크 어댑터가 인식되지 않거나, 설정이 꼬여 인터넷 연결이 끊길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려면 처음부터 올바른 방식으로 윈도우를 설치하고, 바이오스 설정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해요.
2. 올바른 윈도우 설치 USB 제작하기
윈도우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USB를 잘못된 방식으로 제작하면 설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치 후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요. 과거에는 Rufus나 Ventoy 같은 도구를 사용했지만, 추가적인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해 초보자가 실수하기 쉬운 단점이 있어요. 따라서, 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Media Creation Tool)"를 사용하는 것이에요. 이 도구를 이용하면 자동으로 올바른 부팅 방식(UEFI/GPT)을 설정해 주기 때문에 별도의 설정 변경이 필요 없어요. 최신 윈도우 버전을 설치할 수 있으며, 별도로 ISO 파일을 다운로드할 필요도 없어 가장 간편한 방법이에요.
✅ 가장 쉬운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미디어 생성 도구 사용 (권장)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미디어 생성 도구를 다운로드
- 실행 후 "다른 PC용 설치 미디어 만들기" 옵션 선택
- USB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자동으로 부팅 USB를 생성
이 방법을 사용하면 자동으로 올바른 UEFI 및 GPT 설정을 적용해 주기 때문에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하지 않아요.
012
❌ Ventoy & Rufus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
- ✅ Ventoy의 경우 여러 개의 ISO 파일을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추가적인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해서 초보자는 정상적으로 설치하기 어려워요.
- ✅ Rufus는 기존 방식으로 설치 USB를 만들 수 있지만, 설정이 잘못되면 UEFI와 GPT를 자동으로 맞추지 못하고 잘못된 방식으로 설치될 가능성이 있어요.
🚨 따라서, 윈도우를 제대로 설치하려면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에요.
3. 바이오스(BIOS) 설정 올바르게 하기
윈도우 설치 전 바이오스(BIOS) 설정을 올바르게 해두면 설치 후 발생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메인보드마다 설정이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부팅 모드를 UEFI 또는 Legacy 중 올바르게 선택하는 것이에요. 최신 PC에서는 대부분 UEFI 모드를 사용해야 하며,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은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Secure Boot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윈도우 설치 후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비활성화해야 해요. 이런 설정을 올바르게 하면 윈도우 설치 후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식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요.
설정하기(메인보드에 따라 다름)
- 🖥 컴퓨터 재부팅 후 BIOS 설정 진입 (F2, Del 키)
- 🔄 Boot Mode 설정 → GPT 설치: UEFI 모드 / MBR 설치: Legacy 모드
- ⚙️ CSM 설정 → UEFI 모드에서는 CSM 비활성화
- 🔒Secure Boot 설정 → 필요 시 비활성화
- ⚡ Fast Boot 설정 → 설치 중 오류 발생 시 비활성화
🚨 Ventoy나 Rufus로 만든 USB를 사용하면 반드시 바이오스 설정을 변경해야 하므로, 초보자에게는 비추천!
4. 디스크 파티션 방식 확인 및 설정
윈도우를 설치하려는 디스크가 올바른 형식인지 확인하고, 필요하면 변환해야 해요.
- 🖥 Windows + X → "디스크 관리" 열기
- 📂 설치할 디스크 선택 → "속성" → "볼륨" 탭에서 GPT 또는 MBR 확인
- 🔄 디스크 변환이 필요하면 초기화 후 변경
- 🖥 Shift + F10 → 명령 프롬프트 실행
- ⌨️ diskpart 입력 후 Enter
- 📜 list disk 입력 후 Enter (연결된 디스크 목록 확인)
- 🎯 변환할 디스크 선택 → select disk X (X는 디스크 번호)
- 🗑 기존 파티션 삭제 → clean
- 🔄 GPT 변환 → convert gpt
- 🔄 MBR 변환 → convert mbr
윈도우를 설치할 디스크의 파티션 형식(GPT 또는 MBR)이 메인보드의 부팅 방식(UEFI 또는 Legacy)과 맞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거나, 설치 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 이를 확인하려면 Windows + X를 누르고 "디스크 관리"를 실행해 설치 디스크의 파티션 스타일을 확인하면 돼요. 만약 UEFI 모드에서 윈도우를 설치하려면 GPT 형식이어야 하고, Legacy 모드에서는 MBR 형식이어야 해요. 형식이 맞지 않으면 diskpart 명령어를 사용해 디스크를 변환할 수 있어요. 설치 전 미리 확인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변환하면 나중에 네트워크 인식 문제나 업데이트 후 오류를 방지할 수 있어요.
5. 윈도우 설치 후 올바른 관리 방법
윈도우를 올바르게 설치한 후에도 몇 가지 설정을 점검하면 인터넷 연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 🔄 네트워크 드라이버 최신 상태 유지
- 🖥 Windows + X → "장치 관리자" → "네트워크 어댑터"에서 최신 드라이버 업데이트
- 🌐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드라이버 다운로드
- 🔄 네트워크 초기화 및 설정 확인
- 🖥 Windows + X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초기화 실행
- ⌨️ ipconfig /flushdns 명령어 실행하여 DNS 캐시 초기화
윈도우를 올바르게 설치한 후에도 몇 가지 설정을 점검하면 인터넷 연결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요. 먼저, 네트워크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해 설치하는 것이 좋아요. 또한, 업데이트 후 네트워크 설정이 초기화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Windows + X → "네트워크 및 인터넷" → "네트워크 초기화"를 실행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요. 네트워크 어댑터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면, ipconfig /flushdns 명령어로 DNS 캐시를 초기화해 보는 것도 방법이에요. 윈도우 설치 후 이러한 기본적인 관리만 잘하면 업데이트 이후에도 인터넷 연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요.
조언
윈도우 업데이트 후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 문제는 설치 과정에서 부팅 방식(UEFI/Legacy)과 디스크 파티션(GPT/MBR)을 제대로 맞추지 않아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Ventoy나 Rufus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추가적인 바이오스 설정이 필요해서 초보자가 정상적으로 설치하기 어렵고, 실수하면 나중에 업데이트 후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요.
🚀 따라서, 가장 쉬운 방법은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미디어 생성 도구"를 이용해 설치 USB를 만드는 거예요.
설치 과정에서 한 번만 신경 써서 올바르게 설정하면, 이후 업데이트를 해도 인터넷 연결 문제 같은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