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을 포맷 후 윈도우를 설치하기 위해 설치 USB를 읽혀 윈도우 10 설치를 하려고 했으나, OEM 파티션이 존재하고 "드라이브 1 파티션 2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를 띄우면서 설치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윈도우 10 OEM 파티션이 있는 경우의 "드라이브 1 파티션 2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발생원인
이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는 OEM 파티션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 OEM 파티션이란?
컴퓨터를 구매할 때 LG 전자나 삼성전자의 제품 등을 구매한 경우 OEM 정품 인증이 이뤄지게 되면서,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더라도 정품인증이 이뤄져 있습니다. 이 OEM 파티션에 정품 인증 데이터가 있으며 이 파티션을 제거하게 되면 윈도우 정품 인증이 해제되게 됩니다.
이 경우에 모든 파티션이 설치할 수 없다는 문구가 나타난다면, 설치 USB가 잘못 제작되었음을 인지해야 합니다. 현재 윈도우가 설치된 디스크의 구조와 설치 USB의 디스크 구조가 서로 반대라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파티션을 제거할 것이 아니라 윈도우 10 설치 USB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 "드라이브 0 파티션 2에 Windows를 설치할 수 없습니다" 해결 방법
2020년 이전까지의 삼성전자 혹은 LG 전자는 구형 메인보드와 신형 메인보드 구분 없이, 직접 메인보드를 생산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설치 구조를 가졌습니다. 보통 UEFI 방식이 아닌 레거시 방식을 사용해왔었습니다.
■ 현재 윈도우가 설치된 방식 확인 방법
- 윈도우 부팅
- Windows Key + Q
- msinfo 검색
- BIOS 모드
시스템 정보로 이동하여 BIOS 모드 레거시인 경우는 설치 USB - MBR로 제작
시스템 정보로 이동하여 BIOS 모드 UEFI인 경우는 설치 USB - GPT로 제작
OEM 메인보드 유저의 경우는 그냥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정보의 바이오스 모드를 확인하여 설치 USB를 제작해야 합니다.
■ OEM 메인보드 설치 USB 제작 방법
-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0"로 이동
- 지금 도구 다운로드 > "이 PC 권장" 체크 해제
- 설치 USB 제작이 아닌 "ISO 다운로드"
- Rufus 다운로드 > 설치 USB로 만들 USB 장착
- Rufus 실행 > ISO 선택
- 바이오스 모드가 레거시인 경우 - MBR로 변경
- 바이오스 모드가 UEFI인 경우 - GPT로 변경
- 시작 > 제작완료
윈도우 10 설치 USBRufus를 이용한제작 방법·MBR·GPT 선택 방법
윈도우 10 2004 버전부터는 고려 해야하는 사항들이 많아졌습니다. 그에따라, 정품 구매 시 지급되는 설치 USB는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이 USB는 구형메인보드에 맞는 MBR 방식이기 때문에 2015 이후
goaway007.tistory.com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𝟣𝟢 인터넷 익스플로러 𝟣𝟣 활성화 및 Internet Explorer 설치 (0) | 2021.05.11 |
---|---|
윈도우10 재부팅 시 바탕화면 아이콘이 재배열되는(고정이 안되는) 문제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1.05.10 |
윈도우10 설치 USB 제작 시 마이크로 소프트 회사에서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제작하면 안되는 이유 (0) | 2021.05.09 |
윈도우10 아이콘을 윈도우7으로 변경하기(feat. 아이콘 패치기) (0) | 2021.05.06 |
윈도우 10 자음모음 분리 현상 (자음모음 분리현상 패치기 ver 2.0) (2) | 2021.05.01 |
윈도우10 1909/21h2 아이콘으로 변경하기(feat. 아이콘 패치기) (0) | 2021.04.29 |
윈도우10 코나타(Conata) 설치 및 제거 유틸리티 (by_goaway) (2) | 2021.04.27 |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0x800f0905 오류 발생원인 및 조치방법 (0) | 2021.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