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모바일

윈도우11 바이오스 설정(보안보팅, TPM2.0, 부팅순서)하는 방법

고어웨이 2025. 1. 31. 23:49

윈도우11을 설치하려면 몇 가지 필수적인 바이오스 설정을 해야 해요. 특히 TPM 2.0과 보안 부팅(Secure Boot)을 활성화해야 하고, CSM 기능은 꺼져 있어야 해요. 이런 설정이 맞춰지지 않으면 윈도우11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이 글에서는 MSI 메인보드를 기준으로 바이오스에서 TPM 활성화, 보안 부팅 설정, 부팅 순서 변경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ASUS, ASRock, Gigabyte 같은 다른 메인보드도 비슷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이제 하나씩 살펴볼까요?

 

윈도우11 바이오스 설정 방법

윈도우1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이오스(BIOS)에서 특정 옵션을 설정해야 해요. TPM 2.0과 Secure Boot는 필수 조건이고, CSM 기능은 꺼져 있어야 해요. 또, 부팅 순서를 설정해서 윈도우 설치 USB를 먼저 읽도록 해야 해요. 먼저, 바이오스에 진입하는 방법부터 알려드릴게요. PC를 켜자마자 DEL 키를 연속해서 누르면 바이오스로 들어갈 수 있어요. ASUS 메인보드는 F2 또는 DEL 키를 눌러야 하고, Gigabyte 메인보드는 F12 키를 눌러야 해요.

 

바이오스에 들어간 후에는 고급 모드(F7)로 전환해야 해요. 이제 본격적으로 설정을 시작할게요.

 

1. TPM 2.0 활성화 방법

TPM 2.0은 보안 기능으로, 윈도우11을 설치하기 위해 반드시 활성화해야 해요. TPM 설정을 찾는 방법은 메인보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 경로에서 설정할 수 있어요.

 

MSI 메인보드

  1. 바이오스 진입 → Advanced Mode(F7)
  2. Settings → Security 메뉴로 이동
  3. Trusted Computing 선택
  4. Security Device Support를 Enable로 변경
  5. AMD fTPM switch를 AMD CPU fTPM으로 변경 (인텔 CPU라면 PTT 선택)

ASUS 메인보드

  1. Advanced Mode (F7) → Advanced(고급) 탭 선택
  2. PCH-FW Configuration 선택
  3. TPM Device Selection을 Firmware TPM으로 변경
  4. Enable(사용 가능)로 설정

이제 TPM 기능이 활성화되었어요! 다음으로 Secure Boot 설정을 해볼게요.

 

2. Secure Boot(보안 부팅) 활성화 방법

보안 부팅은 윈도우11 설치를 위한 또 다른 필수 조건이에요. Secure Boot가 비활성화되어 있으면 윈도우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어요. 이를 활성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라 주세요.

 

MSI 메인보드

  1. 바이오스 진입 → Boot 메뉴 이동
  2. Secure Boot 선택
  3. Secure Boot Mode를 Standard 또는 Enabled로 설정

ASUS 메인보드

  1. Advanced Mode (F7) → Boot(부팅) 탭 이동
  2. Secure Boot 선택
  3. OS Type을 Other OS에서 Windows UEFI mode로 변경
  4. Secure Boot가 활성화되었는지 확인

Secure Boot를 활성화하면 UEFI 모드에서만 부팅할 수 있어요. 따라서 CSM 기능을 꺼야 해요.

 

3. CSM 기능 비활성화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은 구형 레거시 방식의 부팅을 지원하는 기능으로, 윈도우11을 설치하려면 반드시 비활성화해야 해요. CSM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UEFI 모드를 제대로 사용할 수 없고, 보안 부팅(Secure Boot)이나 TPM 2.0 같은 필수 기능이 제한될 수 있어요. 바이오스의 Boot(부팅) 메뉴에서 CSM 옵션을 찾아 **Disabled(비활성화)**로 변경하면 돼요. 설정을 저장한 후 재부팅하면 UEFI 모드가 적용되면서 윈도우11 설치를 진행할 수 있어요.

 

MSI 메인보드

  1. 바이오스 진입 → Boot(부팅) 메뉴 이동
  2. CSM (Compatibility Support Module) 설정 찾기
  3. Disabled(비활성화) 선택

ASUS 메인보드

  1. Advanced Mode (F7) → Boot(부팅) 탭 이동
  2. CSM (Compatibility Support Module) 선택
  3. Disabled(비활성화)로 변경

이제 UEFI 모드에서 부팅이 가능해졌어요. 마지막으로 부팅 순서를 설정해서 설치 USB를 먼저 읽게 만들어볼게요.

 

CSM

 

4. 부팅 순서 변경

윈도우11을 새로 설치하려면 기존 운영체제로 자동 부팅되지 않도록 부팅 순서를 변경해야 해요. 기본적으로 PC는 기존에 설치된 운영체제가 있는 저장 장치를 우선적으로 읽지만, 설치 USB를 사용하려면 USB 드라이브를 가장 먼저 부팅하도록 설정해야 해요. 이렇게 하면 컴퓨터를 켜자마자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기존 윈도우로 진입하는 것을 막고, 새로운 운영체제 설치 과정을 바로 진행할 수 있어요. 바이오스에서 Boot Option #1을 UEFI: USB 드라이브로 변경한 후 설정을 저장하면, 재부팅 시 USB로 부팅이 시작돼요.

 

MSI 메인보드

  1. 바이오스 진입 → Boot(부팅) 탭 이동
  2. Boot Option #1 선택
  3. UEFI: USB 드라이브 이름 선택
  4. Boot Option #2는 Windows Boot Manager로 설정

ASUS 메인보드

  1. Advanced Mode (F7) → Boot(부팅) 탭 이동
  2. #1: UEFI USB 드라이브 선택
  3. #2: Windows Boot Manager 선택

이렇게 설정하면 USB를 통해 윈도우11을 설치할 수 있어요.

 

5. CSM 켜고 하는 방법

0123456789

CSM(Compatibility Support Module)은 구형 레거시 방식의 부팅을 지원하는 기능으로, 윈도우11을 설치할 때는 웬만하면 꺼두는 것이 좋아요. 윈도우11은 UEFI 부팅을 요구하기 때문에 CSM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설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특정 구형 하드웨어에서는 CSM을 활성화해야만 설치가 가능한 경우도 있어요. 이 경우 바이오스에서 CSM을 켠 후, 부팅 옵션을 레거시 모드로 설정하고 설치를 진행하면 돼요. 다만, 보안 부팅(Secure Boot)과 TPM 기능이 비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설치 후 다시 UEFI 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좋아요.

 

6. 가상화 켜는 방법

이제 윈도우11 설치를 위한 바이오스 설정이 완료되었어요. 바이오스 설정이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따라 하면 어렵지 않아요. 메인보드마다 메뉴 이름과 위치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니 비슷한 옵션을 찾아서 설정해 주세요.

윈도우11을 설치한 후에도 가상화 기능이 필요하다면 Advanced → CPU Configuration → Intel Virtualization (VT-x) 옵션을 활성화하면 돼요. 이제 윈도우11을 쾌적하게 사용할 준비가 끝났어요!

 

7. 설정 저장 후 종료

바이오스에서 모든 설정을 완료했다면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종료해야 해요. 설정을 저장하지 않으면 다시 부팅할 때 기존 설정으로 돌아가서 변경한 내용이 적용되지 않아요. 바이오스 메뉴에서 Exit(나가기) 탭으로 이동한 후 Save & Exit(저장 후 종료) 옵션을 선택하면 돼요. 일부 메인보드는 F10 키를 누르면 저장 후 종료할 수 있어요. 설정을 저장한 후 PC가 자동으로 재부팅되며, 변경한 부팅 순서에 따라 설치 USB가 정상적으로 인식되고 윈도우11 설치가 시작될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