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 컴퓨터 부팅 시 크롬을 실행하면 10~15초 뒤에 창이 늦게 열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는 부팅 후 최초 실행 시에 늦게 열리고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열리는 특징이 있는데 이 경우는 읽기 쓰기 속도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부팅 후 크롬 실행 후 10~15초 뒤에 창이 나타나는 이유
부팅 후 최초 실행 시에 크롬이 늦게 열리고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열리는 이유는 읽기 및 쓰기 속도가 저하됐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읽기 쓰기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는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 윈도우가 손상된 경우(자체 복구 명령어)
- SSD/HDD에 불량 섹터가 발생한 경우(불량 섹터 점검)
이러한 두 가지 경우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SSD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윈도우 손상을 의심해야 합니다. SSD의 경우는 불량 섹터가 발생하더라도 10~15초까지 열리는 속도 저하가 일어나지는 않기 때문이죠.
요즘은 대부분 SSD이기 때문에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불량 섹터 점검 후 문제가 없다면 윈도우를 다시 설치하면 해결이 이뤄지지만, 만약 불량 섹터가 나타난 경우라면 교체 후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습니다.
부팅 후 크롬 실행 후 10~15초 뒤에 창이 나타나는 해결방법
불량 섹터 점검 후 문제 여부 확인을 하고 나서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야 합니다.
불량 섹터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바로 윈도우만 다시 설치해주시면 되고, 불량 섹터가 발생한 경우라면 교체 후 윈도우를 다시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불량 섹터가 발생한 흔적이 있지만 건강 상태는 좋음(양호)로 나타나기 때문에 교체할 필요는 없습니다.
윈도우 10 설치 USBRufus를 이용한제작 방법·MBR·GPT 선택 방법
윈도우 10 2004 버전부터는 고려 해야하는 사항들이 많아졌습니다. 그에따라, 정품 구매 시 지급되는 설치 USB는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이 USB는 구형메인보드에 맞는 MBR 방식이기 때문에 2015 이후
goaway007.tistory.com
윈도우 10 설치 USB 구조(MBR·GPT)에 따른 설치 방법
윈도우 10 설치 USB를 제작 할 때에는 메인보드에 맞춰 MBR로 제작할 것인지 GPT로 제작할 것인지를 정확하게 선택해주셔야 윈도우 10 설치 이후에 블루스크린이나 검은화면(블랙스크린), 하드웨어
goaway007.tistory.com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 핑 도는 현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대칭형 및 속도 저하 프로그램) (0) | 2022.11.28 |
---|---|
컴퓨터 드라이버 설치 후 버벅거림 증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11.26 |
SoftEther VPN Client Manager 다운로드, 사용법 (0) | 2022.11.25 |
응용프로그램 0xc000007b 발생 원인 및 해결방법(포맷할 이유가 없음) (0) | 2022.11.24 |
특정 사이트 ERR_TIMED_OUT 혹은 ERR_Connection_Reset 해결 (0) | 2022.11.10 |
HTTP Error 429 오류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인스타) (0) | 2022.11.08 |
윈도우 잠금화면 사진 변경 방법(변경 안 될 시 적용 방법) (4) | 2022.11.07 |
인텔®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다운로드 (0) | 2022.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