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맷 후 해상도 변경이 되지 않거나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는 주로 드라이버 문제나 설치 USB의 잘못된 제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특히, UEFI와 Legacy 메인보드의 구조를 이해하지 못한 채 설치 USB를 제작하면 하드웨어 인식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맷 후 해상도 변경이 되지 않는 이유
포맷을 통해 컴퓨터를 관리하는 많은 유저들은 높은 수준의 컴퓨터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포맷 후 인터넷 연결 문제, 화면 해상도 고정, 드라이버 설치 실패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UEFI 메인보드와 Legacy 메인보드의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설치 USB를 제작했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하드웨어 신호를 메인보드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하드웨어 인식 불가 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UEFI 메인보드
UEFI (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메인보드는 기존의 BIOS를 대체하는 최신 펌웨어 인터페이스입니다. UEFI는 더 많은 기능과 보안성을 제공하며, 2TB 이상의 대용량 하드디스크 지원, 네트워크 기능 강화, 더 빠른 부팅 속도 등을 제공합니다. UEFI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USB를 GPT (GUID Partition Table) 방식으로 제작해야 합니다. GPT는 UEFI 메인보드와 호환되며, 기존의 MBR (Master Boot Record) 방식보다 더 많은 파티션을 지원하고 데이터 보호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Legacy 메인보드
Legacy 메인보드는 기존의 BIOS를 기반으로 하는 메인보드입니다. 이 메인보드는 주로 MBR 방식을 사용하며, 최대 2TB의 하드디스크만 지원하고, 최대 4개의 주 파티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MBR은 기존의 BIOS와 호환되지만, 최신 UEFI 메인보드와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Legacy 메인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USB를 MBR 방식으로 제작해야 합니다.
메인보드와 디스크 구조에 따른 연결 방식
메인보드와 디스크 구조의 호환성 문제는 설치 USB를 제작할 때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UEFI 바이오스를 사용하는 메인보드에서는 GPT 방식의 설치 USB를 사용해야 하며, Legacy 바이오스를 사용하는 메인보드에서는 MBR 방식의 설치 USB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이 Windows 설치를 디스크 0 파티션 1에 설치할 수 없습니다."라는 오류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020년 이후로는 Legacy 방식의 메인보드는 더 이상 출시되지 않으며, UEFI 방식만 지원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메인보드와 디스크 구조 연결 방식 표
유형 | 디스크 구조 | 설명 |
UEFI | GPT | 대용량 하드디스크 지원, 더 많은 파티션, 데이터 보호 강화 |
Legacy | MBR | 최대 2TB 하드디스크 지원, 최대 4개의 주 파티션 |
해상도 조절 문제 원인
윈도우를 설치할 때 잘못된 디스크 구조나 설치 USB의 문제로 인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8 이상부터는 메인보드의 MBR 방식과 GPT 방식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MBR과 GPT 방식은 메인보드가 하드웨어와 통신하는 언어와 같으며, 다른 언어로 명령을 내리면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해상도 조절 문제 발생 원인
- 드라이버 미설치 또는 잘못된 설치
- UEFI와 Legacy 모드의 불일치
- 호환되지 않는 디스크 구조
이러한 문제는 주로 디스크 구조와 설치 USB의 호환성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해상도 조절 문제 해결 방법
올바른 설치 USB 제작과 디스크 구조 설정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디스크 재할당 작업을 통해 올바르게 설정해야 하며, 주의할 점은 디스크 재할당 시 모든 데이터가 소실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설치 USB 제작 방법
윈도우 설치 USB를 제작할 때 Rufus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면, MBR 및 GPT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Rufus를 이용해 설치 USB를 제작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Rufus 다운로드 및 실행
- 설치 USB 선택
- 파티션 방식 (MBR 또는 GPT) 선택
- 시작 버튼 클릭
참고 링크
이와 같이 UEFI와 Legacy 메인보드의 구조를 이해하고, 올바른 디스크 구조와 설치 USB를 제작하는 것은 컴퓨터 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통해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고, 원활한 시스템 운영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운영체제 서비스 종료 일자 (0) | 2021.03.09 |
---|---|
컴퓨터 부팅 중 메인보드 로고 화면에서 멈추는 현상 원인 (0) | 2021.03.06 |
디스크와 파티션, 불량섹터 (0) | 2021.03.06 |
윈도우 설치 파티션 안뜸 문제 해결방법 (0) | 2021.03.06 |
인터넷 이미지 엑박 해결 방법 (2) | 2021.03.03 |
본인 명의 계좌조회 및 휴면 계좌 해지 방법(feat. 계좌정보통합관리) (0) | 2021.03.03 |
Abnormal program termination 오류 발생 원인, 해결 방법 (0) | 2021.03.02 |
윈도우 업데이트 파일 삭제하는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1.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