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와 모바일

듀얼 모니터 연결 및 문제, 설정방법

고어웨이 2020. 6. 29. 15:27

윈도우10을 사용하는 유저들 중에 듀얼 모니터 또는 그 이상의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그래픽카드, 출력 케이블(DVI, HDMI, DP) 등의 문제로 인해 듀얼 모니터가 제대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듀얼모니터 연결방법 및 설정방법

출력 케이블 연결

먼저, 출력 케이블을 제대로 연결해 주어야 합니다. 듀얼 모니터 연결 시 내장 그래픽카드보다는 외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장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 CPU 사용량이 증가하여 컴퓨터 속도가 느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출력 케이블에는 RGB, DVI, HDMI, DP 케이블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 신호를 지원하는 HDMI와 DP 케이블을 주로 사용합니다.

 

모니터 출력 케이블

케이블 종류 설명
RGB 케이블 아날로그 신호, 내장 그래픽카드 주로 사용
DVI 케이블 디지털 신호, 여러 종류 있음
HDMI 케이블 디지털 신호, 주로 사용
DP 케이블 디지털 신호, 고해상도 및 고주사율 지원

 

HDMI와 DP 케이블은 디지털 신호를 전달하며, 호환성도 뛰어납니다. RTX 이상의 그래픽카드는 DVI를 지원하지 않으며, HDMI와 DP 같은 디지털 신호만 출력합니다. 따라서 모니터를 연결할 때 이러한 점을 유의해야 합니다.

 

모니터 설정 변경

모니터를 연결했는데 화면이 나오지 않는다면,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바탕화면에서 "Windows Key + P"를 눌러 확장 또는 복제 모드로 변경하면 됩니다.

 

더보기
출력 케이블 연결
  1. 출력 케이블을 연결해주어야 됩니다.
  2. 쿼드모니터(4개)연결이 아니라면, 굳이 내장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 것 보다 외장그래픽카드로 모두 활성화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3. 내장그래픽을 활성화 시키게 되면, CPU 사용량이 늘어나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4. 케이블의 종류에는 RGB와 DVI케이블, HDMI케이블, DP케이블이 있습니다.
  5. 내장그래픽카드에는 연결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RGB 케이블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요즘 없어지는 추세입니다.
  6. DVI케이블은 총 5가지가 있습니다.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니터 출력 케이블

 

더보기
  • 외장그래픽에 가능한 것은 대부분 디지털에서 지원을 합니다.
    - HDMI / DP 는 디지털 신호이며 HDMI to DVI 도 당연 지원 가능합니다.
  • 모니터에 맞지 않는다면, 새로 구매를 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DVI-D 듀얼 / DVI-I 듀얼 링크 듀얼모니터가 가능합니다.

  • 그래픽카드가 RTX 이상의 버전부터는 DVI도 지원하지 않으며, HDMI와 DP같은 디지털신호만 출력하게 됩니다.
  • 외장 그래픽카드는 보통 본체의 하단에 있습니다.
  • 그래픽카드가 RTX 이상의 버전부터는 DVI도 지원하지 않으며, HDMI와 DP같은 디지털신호만 출력하게 됩니다. 모니터를 연결하고 컴퓨터를 켰는데, 한 쪽은 안 나와요! 해당 문제는 주모니터(1번)에만 출력이 되는 현상입니다. 해당 문제는 그래픽카드 제어판에서 "PC화면만"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확장이나 복제로 변경해주어야 출력이 가능합니다.
단축키

바탕화면에서 "Windows Key와 P키"를 동시에 누르면 우측에 위 사진과 같은 창이 뜹니다. 방향키로 "복제나 확장"으로 변경해주시면 됩니다.

  • 복제 : 같은 화면을 출력
  • 확장 : 전자 매장가면 여러개의 모니터로 커다란 화면을 출력하듯이 같은 옵션입니다.

 

화면 설정 방법

  1. 복제: 동일한 화면을 두 모니터에 출력
  2. 확장: 하나의 큰 화면처럼 두 모니터를 사용

 

듀얼모니터 사용 중 문제점

1. 화면 캡처 시 검은 줄 발생

이 문제는 두 모니터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거나 디스플레이 위치가 정확히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해상도를 동일하게 맞추고, 모니터 위치를 조정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식별
디스플레이 식별

 

2. 모니터 깜박거림

잘못된 그래픽카드 드라이버 설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거나, 자신의 하드웨어에 맞는 추천 버전을 설치해야 합니다. Dxdiag에서 표준 드라이브로 나타난다면, GPU-Z를 통해 확인하고 드라이버를 다시 설치해 보세요.

 

 

3. 게임 시 바탕화면으로 전환

두 모니터의 해상도가 다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해상도를 동일하게 맞추거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4. 게임 프레임 드랍

듀얼 모니터 사용 시 그래픽카드 사용량이 증가하여 프레임 드랍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VRAM 용량이 충분해야 하며, 부족할 경우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해야 합니다.

  • 당연히 싱글 모니터 사용 시 보다 듀얼모니터 사용 시 그래픽카드 사용량은 늘어나게 됩니다. 그래픽카드가 처리하는 량이 많이질수록 그래픽카드의 VRAM은 높아야 그만큼 처리하는 속도가 빨라져서 프레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VRAM이 낮다면 듀얼모니터 사용 게임은 피해야 합니다.
  • VRAM은 그래픽 카드에 탑재된 메모리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Windows에서 VRAM 용량을 확인하려면 [Windows Key + R] → Dxdiag → [디스플레이]로 이동하면 됩니다. VRAM 수치가 높을수록 그래픽 처리 속도가 향상됩니다. 만약 VRAM 용량이 부족하면 프레임 드랍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VRAM 용량이 더 큰 그래픽 카드로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로, RAM 용량과 VRAM 용량은 다릅니다.

 

VRAM 부족으로 인한 증상 및 해결 방법

VRAM 부족 증상

  • CPU 사용량 급증
  • 화면 깜박거림
  • 게임 프레임 드랍

VRAM 업그레이드 방법

RAM 메모리 용량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선의 방법은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하는 것입니다. 최소 4GB 이상의 VRAM을 가진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면 듀얼 모니터 게임도 원활하게 즐길 수 있습니다.

dxdiag
dxdiag

 

HDMI 연결 시 화면 흐릿함 해결 방법

ClearType 기능 켜기

  1. Windows 시작 버튼을 클릭한 후,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2. "설정" 메뉴에서 "개인 설정"을 클릭합니다.
  3. 왼쪽 메뉴에서 "디스플레이"를 선택합니다.
  4. 디스플레이 설정 페이지에서 "텍스트를 읽기 쉽게 만들기" 또는 "ClearType 텍스트" 링크를 클릭합니다.
  5. ClearType 텍스트 튜너가 열리면 "ClearType 텍스트 켜기"를 체크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6. 화면에 표시되는 텍스트 샘플을 보고 가장 선명하게 보이는 텍스트를 선택하여 설정을 완료합니다.

 

cleartypecleartype
cleartype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1. 바탕화면에서 오른쪽 클릭 후, "NVIDIA 제어판"을 선택합니다.
  2. 왼쪽 메뉴에서 "3D 설정 관리"를 클릭합니다.
  3. 목록에서 "스레드 최적화" 항목을 찾습니다.
  4. "스레드 최적화"를 "켜기"로 설정합니다.
  5. 설정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6. 왼쪽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섹션의 "해상도 변경"을 클릭합니다.
  7. 오른쪽 패널에서 "기본 설정"으로 변경합니다.
  8. 필요한 해상도를 선택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9. 왼쪽 메뉴에서 "디스플레이" 섹션의 "해상도 변경"을 다시 클릭합니다.
  10. 오른쪽 패널에서 "NVIDIA 컬러 설정 사용"을 선택합니다.
  11. 밝기, 대비, 디지털 바이브런스를 필요에 맞게 조정한 후 "적용"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스레드 최적화 스레드 최적화 스레드 최적화
스레드 최적화 "켜기"

 

위의 방법을 통해 듀얼 모니터 사용 중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설정과 하드웨어 구성으로 쾌적한 듀얼 모니터 환경을 구축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