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ODE EXCEPTION NOT HANDLED 오류는 Windows 사용자라면 한 번쯤 겪어볼 수 있는 골치 아픈 블루스크린 현상이에요. 특히 설치 직후나 드라이버 설정 이후, 또는 인터넷이 끊기며 나타나는 이 오류는 단순한 드라이버 문제로 오해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윈도우 자체의 설치 오류일 확률이 매우 높아요. 다양한 발생 원인과 잘못된 설치 방식, 그리고 전문가답지 않은 답변에 대한 사례까지 함께 살펴보면서, 확실하게 이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KMODE EXCEPTION NOT HANDLED 블루스크린
KMODE EXCEPTION NOT HANDLED 오류는 Windows에서 시스템 서비스 예외나 드라이버 충돌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블루스크린이에요. 단순히 그래픽카드 오류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메인보드와 운영체제 간의 호환 문제, 잘못된 BIOS 설정, 또는 설치 USB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런 경우 Windows가 하드웨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서 인터넷 끊김, 저장장치 인식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블루스크린 원인 요약
발생 조건 | 문제 설명 |
---|---|
설치 USB 오류 | 제작 방식이 잘못되어 Windows 설치가 불완전함 |
바이오스 설정 오류 | 하드웨어 인식을 제대로 못함 |
드라이버 충돌 | nvlddmkm.sys 오류 등으로 블루스크린 발생 |
문제의 주요 원인
이 오류는 Windows 설치 당시 잘못된 USB 사용, BIOS 설정 미숙, 또는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데요. 특히 설치 직후 발생하거나 nvlddmkm.sys 파일과 함께 나타나면, 단순한 그래픽 문제로 오해하기 쉬워요. 하지만 이벤트 뷰어에서 커널 오류가 대량으로 기록되는 경우, 거의 대부분은 Windows 설치가 잘못되었기 때문이에요.
문제의 주요 원인 정리
- 잘못된 설치 USB 사용
- 바이오스 설정 불일치
- 운영체제와 메인보드의 호환 불량
- 드라이버 충돌 또는 누락
- 커널 오류 다발 발생
설치 방식부터 꼼꼼히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정확한 원인 진단 없이 그래픽카드 문제로만 치부하면 해결이 늦어질 수 있어요.
하드웨어 호환성과 운영체제 설치 방식을 함께 고려하면 문제 해결이 훨씬 쉬워져요.
지식인에서 흔히 보는 잘못된 답변들
지식인 등 커뮤니티에서는 이 오류에 대해 그래픽카드 문제라고만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nvlddmkm.sys`라는 파일명을 근거로 GPU만 교체하라는 말은 매우 위험한 접근이에요. 실제로 질문자들이 말하길, SSD에 Windows를 재설치한 후 인터넷도 끊기고 블루스크린이 떴다고 하는데, 이는 시스템 전체가 하드웨어를 인식하지 못한다는 뜻이에요.
잘못된 진단 사례 요약
- 그래픽카드만 문제로 단정
- 드라이버 교체만 권장
- 하드웨어 진단 생략
- Windows 재설치 방법 제시 안함
- 커널 오류 무시
전문가의 조언일수록 더 꼼꼼히 살펴보는 게 좋아요.
단편적인 증상만 보고 판단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요.
인터넷 정보는 참고만 하되, 직접 원인을 파악하려는 자세가 필요해요.
올바른 Windows 설치 방법(Windows 10 기준)
정확한 Windows 설치는 KMODE 오류 해결의 핵심이에요. 특히 조립형 PC에 정품 설치 USB로 설치할 경우 오류가 발생하기 쉽고,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툴을 사용하더라도 설정에 따라 호환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벤토이(Ventoy)를 이용한 설치 USB 제작 방식이 현재 가장 안전하고 빠른 방법이에요.
정상 설치를 위한 체크리스트
- USB는 8GB 이상
- Ventoy를 이용한 제작 권장
- BIOS는 UEFI 설정
- 보안 부팅 해제
- 필요한 드라이버 미리 준비
단순한 USB 제작도 설정 하나에 따라 오류 유발 가능성이 커요.
설치 방식에 따라 드라이버 인식이 180도 달라질 수 있어요.
BIOS 설정 팁
BIOS 설정은 Windows 설치 시 중요한 역할을 해요. UEFI 모드로 설정해야 드라이버 인식이 잘 되고, 보안 부팅을 꺼야 설치 오류를 줄일 수 있어요. 또한 SATA 모드는 AHCI로 설정해주는 게 SSD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에요.
BIOS 설정 핵심
- UEFI 설정 확인
- Secure Boot 비활성화
- SATA Mode = AHCI
- CSM 사용 여부 확인
- 초기화 후 저장
설정 후 저장하지 않으면 적용이 되지 않아요.
바이오스 설정을 정확하게 해줘야 Windows가 제대로 설치돼요.
기기별 BIOS 접근 및 설정법은 메인보드 제조사 홈페이지를 참고해 주세요.
드라이버 설치 순서
Windows 설치 이후 드라이버를 올바른 순서대로 설치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불안정해질 수 있어요. 특히 메인보드 칩셋 드라이버, LAN 드라이버, 그래픽 드라이버는 설치 순서가 매우 중요해요. 자동 설치 프로그램보다 제조사 공식 홈페이지에서 수동으로 받아 설치하는 걸 추천해요.
설치 순서 가이드
- 메인보드 칩셋
- LAN / 무선 네트워크
- 사운드
- 그래픽 드라이버
- 그 외 추가 장치
순서가 꼬이면 드라이버 충돌이 일어나기 쉬워요.
정확한 순서와 출처를 지키는 것이 핵심이에요.
각 메인보드 제조사 사이트에서 최신 버전을 꼭 확인하세요.
시스템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점검
모든 설치와 설정이 완료되었어도 마지막 점검을 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오류가 다시 나타날 수 있어요. 장치 관리자에서 오류 표시가 있는 드라이버가 있는지 확인하고, Windows 업데이트를 통해 최신 패치를 적용해 주세요. 마지막으로 시스템 복원 지점을 만들어두면 혹시라도 문제가 생겼을 때 쉽게 복구할 수 있답니다.
최종 점검 체크리스트
- 장치 관리자 확인
- Windows 업데이트 적용
- 불필요한 드라이버 삭제
- 시스템 복원 지점 생성
- 최종 재부팅 후 테스트
최종 점검을 게을리하면 또다시 블루스크린이 발생할 수 있어요.
세팅 후 점검까지 마무리하는 것이 진짜 해결이에요.
정상 작동을 확인하고 백업 및 복원 지점까지 체크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