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발생하는 블랙스크린 문제는 주로 드라이버 충돌, 시스템 파일 손상, 하드웨어 연결 불량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안전 모드 부팅 후 그래픽 드라이버 재설치, 시스템 파일 검사 도구(SFC) 실행, 하드웨어 연결 상태 점검 등의 조치를 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정기적인 시스템 백업과 업데이트 관리로 이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블랙스크린의 발생 원인과 조치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윈도우 블랙스크린
윈도우 블랙스크린은 컴퓨터 부팅 후 바탕화면 대신 검은 화면만 나타나고 마우스 커서만 움직이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 현상은 주로 윈도우 운영체제의 손상, 업데이트 오류, 또는 잘못된 설치 파일로 인해 발생합니다. 블랙스크린은 윈도우 10부터 보고되기 시작했으며, 윈도우 11에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이 경우 appx 파일이 손상되거나 로드되지 않아 작업표시줄과 바탕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 오류, 드라이버 문제, 또는 GPT 방식이 아닌 설치 USB 사용으로 인해 블랙스크린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작업 관리자에서 explorer.exe를 실행하거나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해볼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에는 클린 설치가 필요합니다.
1. 1909 빌드 이하인 경우
윈도우 1909 빌드 이하에서 발생하는 블랙스크린은 주로 윈도우 자체의 구조적 버그나 특정 기능의 비정상 작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입니다. 1909 빌드에서는 appx 파일을 로드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작업표시줄과 바탕화면이 표시되지 않는 사례가 자주 보고되었습니다. 또한, 1903 빌드에서는 KMS를 이용한 정품 인증 문제가 주요 원인으로, 인증 갱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불법 인증 키를 사용했을 때 정품 인증이 차단되면서 블랙스크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빌드 이하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의 오류와 복구 명령어 미작동 문제가 종종 발견되어, 단순 복구만으로는 완벽히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면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거나, 신뢰할 수 있는 설치 USB를 통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즉, 현재 발생하는 블랙스크린의 경우는 바이오스 설정과 설치 USB 제작 자체에서 문제가 생겼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각 메인보드마다 설치 USB 제작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르게 설치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2. CTRL + SHIFT + ESC
CTRL + SHIFT + ESC는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작업 관리자를 즉시 실행하는 단축키입니다. 이 기능은 시스템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응용 프로그램을 관리하거나 종료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다른 단축키인 CTRL + ALT + DELETE와는 다르게, 별도의 화면 전환 없이 바로 작업 관리자가 실행되기 때문에 더 빠르고 직관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확인 방법
작업 관리자를 통해 CPU, 메모리, 디스크 및 네트워크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거나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줄 때 이를 강제 종료하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작업 관리자의 "시작 프로그램" 탭을 이용하면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도 있습니다. 이 단축키는 특히 블랙스크린 문제 해결 시 explorer.exe를 다시 실행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3. 시스템 복원 시점
시스템 복원 시점은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던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기능으로, 블랙스크린과 같은 오류가 발생했을 때 유용한 해결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은 주로 업데이트나 드라이버 설치 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사용됩니다. 복원 지점을 선택하면 해당 시점으로 시스템 설정, 레지스트리, 및 중요한 파일 구성이 되돌아가며, 문제가 발생한 업데이트나 변경 사항이 초기화됩니다.
그러나, 블랙스크린 증상이 나타난 경우 시스템 복원을 사용하는 데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복원 과정에서 레지스트리 충돌이나 손상된 파일이 제대로 복구되지 않을 경우 문제가 지속되거나 더 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복구 지점 자체가 이미 불안정한 상태에서 생성된 것이라면 복원 후 부팅 실패 또는 다른 시스템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 복원을 시도하기 전에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복원 이후에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클린 설치와 같은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탕화면이 나오는 경우
- Windows Key + R을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SystemPropertiesProtection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 시스템 복원을 클릭하고 업데이트 이전 복원 지점을 선택합니다.
- 시스템 복원 완료 후 블랙스크린 증상이 사라졌는지 확인합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 기능을 비활성화합니다.
4. 복구 불가능한 경우
복구 불가능한 경우는 블랙스크린 증상이 단순한 업데이트 오류나 파일 손상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윈도우 설치 과정 자체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나타납니다. 이 경우 주된 원인은 잘못된 바이오스 설정, GPT 방식이 아닌 비표준 설치 USB 사용, 또는 하드웨어 드라이버 충돌로 인해 윈도우가 제대로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복구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시스템 복원이나 명령어 입력만으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이때 필요한 방법은 클린 설치(Clean Install)입니다. 클린 설치는 기존의 손상된 윈도우 파일과 설정을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클린 설치
- 메인보드에 맞는 설치 USB를 올바른 방식으로 제작(GPT 또는 UEFI 지원).
- 바이오스 설정에서 부팅 순서와 기타 옵션을 올바르게 구성.
- 디스크를 초기화하고, 파티션을 삭제한 후 깨끗한 상태로 윈도우를 재설치.
이 과정을 통해 잘못된 설정과 손상된 데이터를 모두 제거할 수 있으며, 설치 후에는 드라이버와 업데이트를 신중히 관리해 재발을 방지해야 합니다.
* 주의: 클린 설치 시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삭제되므로, 반드시 사전 백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윈도우 블랙스크린 문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업데이트 오류에서부터 잘못된 설치 및 하드웨어 설정까지 폭넓은 범위를 포함합니다. 초기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작업 관리자 실행, 시스템 복원 등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을 시도할 수 있지만, 문제가 지속되거나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라면 클린 설치와 같은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설치 USB와 바이오스 설정을 올바르게 구성하고, 이후에는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하거나 드라이버 관리를 철저히 해 재발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정기적인 백업 습관을 들이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블랙스크린 문제를 철저히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한다면, 안정적인 시스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d를 hdd로 인식하는 문제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3.08.28 |
---|---|
인터넷가격 및 인터넷가입 비교사이트 알아보기 (0) | 2023.08.26 |
게이밍 노트북 추천 TOP3 (추천하지 않는 노트북 브랜드 포함) (0) | 2023.08.24 |
오토캐드 2022 오류 2502, 오류 2503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3.08.23 |
블루스크린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오류 해결 방법 (0) | 2023.08.21 |
컴퓨터 멈춤 현상 및 프리징 현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3.08.19 |
장치에 중요한 보안 및 품질 수정이 누락되어 있습니다 해결하기 (0) | 2023.08.17 |
윈도우10 업데이트 보류 중, 장치 중요한 보안 및 품질 수정 문제해결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