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을 사용하다 보면, 연결프로그램이 변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결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확장자 파일을 열거나 프로그램 설치 시 기본 설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등록되지 않은 확장자 파일을 열 때 연결프로그램을 지정하게 되어 잘못된 연결이 설정될 수 있습니다.
연결프로그램 변경의 원인
임의로 변경한 경우
사용자가 특정 파일을 열 때 기본 프로그램을 변경하거나,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기본 프로그램 설정이 바뀌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PDF 파일을 Adobe Reader 대신 다른 뷰어 프로그램으로 열도록 설정했을 때 발생합니다.
등록되지 않은 확장자 설정
새로운 확장자 형식의 파일을 열 때 임의의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정하는 경우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특정 확장자를 인식하지 못하고 임의로 프로그램을 지정하여 연결프로그램이 잘못 설정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 설치 후 확장자 미등록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해당 프로그램이 지원하는 파일 확장자를 등록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이는 특히 전문 소프트웨어나 최신 프로그램에서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JPEG 파일을 여는 기본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윈도우10 기본 사진 뷰어 사용방법
윈도우11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지만 윈도우 10에서는 기본 사진 뷰어가 사용가능합니다. 사진 앱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때, 기본 사진 뷰어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방법
- png 혹은 jpg 우측 마우스 클릭 후 속성으로 이동합니다.
- 연결 프로그램에 변경을 선택합니다.
- C:\Program Files\Windows Photo Viewer으로 이동 후 PhotoViewer.dll을 선택합니다.
- 보이지 않을 경우는 우측 상단에 프로그램을 모든 파일로 변경합니다.
- 열기를 선택 후 확인을 눌러주면 Windows 기본 사진 뷰어가 적용됩니다.
- 단, 사진 뷰어에 관련된 레지스트리를 추가해야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레지스트리를 추가해주시기 바랍니다.


연결프로그램 초기화 방법
윈도우 설정에서 기본값으로 변경
- Windows Key + i를 눌러 설정 창을 엽니다.
- 앱을 선택합니다.
- 기본 앱을 선택합니다.
- Microsoft 권장 기본값으로 초기화란에서 "초기화" 버튼을 누릅니다.
이 과정은 Microsoft 권장 기본값을 따르며, 이는 "C:\Windows\System32" 위치에 있는 OEMDefaultAssociations.dll과 OEMDefaultAssociations.xml 파일의 값을 바탕으로 설정됩니다. 이 파일들은 시스템 기본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파일 설명 및 크기
위 파일들은 음악 플레이어와 비디오 플레이어가 "다음 팟플레이어"로 설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기본값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설정 항목 | 설명 |
Windows Key + i | 설정 창 열기 |
앱 선택 | 앱 설정 메뉴 진입 |
기본 앱 선택 | 기본 프로그램 설정 메뉴로 이동 |
Microsoft 권장 기본값으로 초기화 | 초기화 버튼 클릭 |
윈도우을 사용하는 동안 연결프로그램 문제를 자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위의 단계를 따르면 쉽게 기본값으로 되돌릴 수 있어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연결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방법으로 초기화하면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연결프로그램 기본값 변경과 초기화 방법을 잘 숙지하여 시스템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미리 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불필요한 프로그램 충돌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플레이 스토어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다시 시도" 문제 해결방법 (0) | 2021.04.08 |
---|---|
윈도우 버전 및 빌드 확인하는 방법 (0) | 2021.04.06 |
EFI 시스템 파티션이 NTFS(으)로 포맷되었습니다. 해결 방법 (0) | 2021.04.05 |
최대화 버튼이 짤려서 클릭할 수 없는 경우 (0) | 2021.04.03 |
컴퓨터 절전모드 모니터 신호없음 증상 해결 방법 (0) | 2021.04.01 |
정확한 윈도우 업데이트 관리 하는 방법, 윈도우 업데이트 문제 (0) | 2021.03.31 |
일부 사이트가 크롬에서 잘 작동하지 않는 이유 및 조치방법 (0) | 2021.03.27 |
USB 용량 128기가 32기가로 인식되는 경우 (0) | 2021.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