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사용자는 정품인증키의 중요성을 한 번쯤 고민하게 됩니다. 윈도우을 정품으로 인증하는 데 필수적인 정품인증키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를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품인증키는 크게 FPP, ESD, DSP, OEM으로 나뉘며, 각기 다른 라이선스 정책에 따라 사용됩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 정품인증키의 다양한 유형과 분실 시 확인하는 방법, 그리고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윈도우 정품인증키 종류
윈도우을 활성화하는 라이선스 키에는 FPP, ESD, DSP, OEM과 같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이러한 키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되며, 각기 다른 설치 및 재설치 정책이 적용됩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디지털 라이선스를 이용하여 더욱 간편하게 인증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1. FPP (Full Package Product)
FPP(Full Package Product)는 윈도우의 리테일 라이선스로, 패키지 형태로 제공됩니다. FPP의 가장 큰 장점은 한 대의 컴퓨터에만 설치할 수 있지만, 컴퓨터 교체 시 다른 PC로 재설치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이 라이선스는 사용자에게 윈도우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며, 특히 개인 사용자에게 적합합니다. 다만 FPP는 다른 라이선스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01
2. ESD (Electronic Software Delivery)
ESD는 전자 소프트웨어 배포 방식으로, 이메일을 통해 정품인증키를 제공받고 ISO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윈도우를 설치합니다. ESD는 FPP와 유사하지만, 패키지 제품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 더 저렴합니다. 온라인으로 쉽게 구매하고 즉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DSP (Delivery Service Partner)
DSP(Delivery Service Partner) 라이선스는 주로 OEM 제조사나 시스템 빌더가 사용하는 윈도우 라이선스입니다. DSP는 특정 하드웨어, 주로 메인보드에 귀속되어 한 번 설치된 PC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교체하면 다른 PC로 이식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DSP 라이선스는 자동으로 인증이 유지되고, 가격이 FPP나 ESD보다 저렴하지만, 일반 소비자가 직접 구매할 수는 없습니다.
4.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라이선스는 주로 제조사들이 제공하는 사전 설치된 윈도우에 사용되며,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됩니다. 하지만 최근 쿠팡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유출된 OEM 정품인증키가 불법적으로 판매되어 많은 소비자가 사기 피해를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증키는 정품으로 보이지만, 언제 차단될지 알 수 없어 사용 도중 라이선스가 비활성화될 위험이 큽니다. 따라서 이러한 저가 인증키 구매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쿠팡 윈도우 USB 구매하면 안 되는 이유
윈도우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정품 윈도우을 구매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goaway007.tistory.com
윈도우 정품인증키 분실 시 확인 방법
윈도우 정품인증키를 분실했을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먼저 레지스트리를 통해 간편하게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Windows Key와 R을 눌러 실행 창을 연 뒤, 'cmd'를 입력해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하고 slmgr /dlv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등록된 정품인증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추가 프로그램 설치 없이 바로 확인할 수 있어 간편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ProduKey'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면, 윈도우와 기타 소프트웨어의 정품인증키가 표시되며, 이를 기록하거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윈도우를 다시 설치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정품인증키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므로, 이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하지 않도록 주의 깊게 관리해야 합니다. 키를 안전한 장소에 기록하거나 암호화된 파일로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레지스트리를 통한 확인
윈도우에서 정품인증키를 확인하려면 레지스트리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Windows Key와 R을 눌러 실행 창을 열고,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를 실행합니다. 그 후 slmgr /dlv 명령어를 입력하면 현재 등록된 정품인증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프로그램 설치 없이 시스템 내부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는 간편한 방식입니다.
slmgr /dlv
2. 프로그램을 이용한 확인(추천)
정품인증키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ProduKey'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면, 현재 사용 중인 정품인증키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윈도우와 기타 소프트웨어에 대한 키가 표시되며, 이를 기록하거나 파일로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정품인증키를 재사용할 때 유용합니다.
프로그램을 이용한 정품인증키 확인 방법
- 정품인증 키를 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해 줍니다.
- Product Key가 현재 등록된 정품인증 키이며 기록을 했다가 다시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 우측 마우스 클릭을 한 후 파일 형식으로 저장을 해줍니다.
정품인증키
3. 정품인증키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방법
정품인증키는 윈도우를 활성화하고 사용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이를 안전하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키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하지 않도록 아래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한 디지털 라이선스 관리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윈도우 정품 인증을 연결하면, 나중에 하드웨어를 변경하거나 재설치할 때 간편하게 정품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FPP나 ESD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정품인증키를 별도로 보관할 필요 없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해 언제든지 인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백업 및 보안 관리
정품인증키를 분실하지 않기 위해서는 키를 안전하게 백업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앞서 소개한 프로그램을 통해 키를 확인한 후, 이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하여 클라우드나 외장 하드 등에 백업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라인 상에서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를 통해 인증키를 구매하는 행위는 피해야 하며, 공신력 있는 판매처에서만 구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