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약된 저장소와 최대 절전모드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성능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예약된 저장소는 시스템 업데이트, 애플리케이션, 임시 파일 등을 위한 7GB 공간을 따로 확보하여 디스크 부족 상황에서도 원활한 업데이트와 시스템 성능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반면, 최대 절전모드는 현재 작업 상태를 디스크에 저장하여 전력 절약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이 두 기능은 유용하지만, 디스크 용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비활성화하여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약된 저장소
예약된 저장소는 Windows 10 및 이후 버전에서 디스크 공간 부족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주로 업데이트 파일, 임시 시스템 파일 및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며,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 업데이트 안정성: 업데이트 과정에서 필요한 파일이 저장되어, 디스크 공간 부족으로 인한 업데이트 실패를 방지합니다.
- 시스템 성능 최적화: 시스템 캐시와 임시 파일을 정리하여 장치의 전반적인 성능을 유지합니다.
- 디스크 관리: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동안 불필요한 파일을 제거하여 여유 공간을 만듭니다.
업데이트 파일은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폴더에 저장되며, 예약된 저장소를 통해 디스크 여유 공간이 부족한 상황에서도 시스템 업데이트가 원활히 진행될 수 있습니다.
1. 예약된 저장소의 필요성과 제거
예약된 저장소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시스템 업데이트, 임시 파일, 캐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약 7GB의 디스크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업데이트 실패를 방지하고 시스템 성능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도 운영 체제가 원활하게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하지만, 디스크 용량이 부족한 사용자는 이 기능이 불필요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저장 공간이 제한적인 SSD를 사용하는 경우, 예약된 저장소를 제거하면 약 7GB의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디스크 여유 공간이 늘어나고 시스템 성능이 개선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필요에 따라 예약된 저장소를 비활성화하려면 특정 도구나 레지스트리 편집을 사용해야 하며, 재부팅 후 추가 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지만, 업데이트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사용자라면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제거 방법
예약된 저장소를 비활성화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Reserved_Storage_Control.zip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압축을 풀고 Reserved_Storage_Control.exe 파일을 실행합니다.
- '1'을 입력한 후 엔터 키를 누릅니다.
- 재부팅하면 예약된 저장소가 삭제되고 약 7GB의 디스크 공간이 복구됩니다.
예약된 저장소 사용 여부를 확인하려면 동일한 프로그램에서 '3'을 입력하거나, 디스크 관리 옵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echo off
:: 예약된 저장소 비활성화 스크립트
echo 예약된 저장소를 비활성화합니다...
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eserveManager" /v ShippedWithReserves /t REG_DWORD /d 0 /f
echo 완료되었습니다. 컴퓨터를 재부팅하여 7GB 공간을 복구하세요.
pause
2. 최대 절전모드의 역할과 제거
최대 절전모드는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전력 절약과 작업 상태 보존을 위해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이 모드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과 열린 파일을 RAM 대신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여 전원을 완전히 끈 후에도 작업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절전모드의 주요 기능
- 전력 절약: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작업을 저장하고 재개할 수 있어 배터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합니다.
- 작업 상태 복구: RAM의 내용을 디스크에 저장하여, 컴퓨터를 켤 때 이전 작업 상태를 그대로 복원합니다.
- 안정성 강화: 예기치 않은 전원 차단에도 데이터가 손실되지 않습니다.
@echo off
:: 최대 절전모드 비활성화 스크립트
echo 최대 절전모드를 비활성화합니다...
powercfg -h off
echo 완료되었습니다. hiberfil.sys 파일이 제거되었습니다.
pause
그러나 최대 절전모드는 시스템 디스크에 hiberfil.sys라는 파일을 생성하며, 이 파일은 일반적으로 1~2GB의 용량을 차지합니다. 디스크 공간이 부족한 사용자라면 이 기능을 비활성화하여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최대 절전모드를 제거하려면 명령 프롬프트에서 powercfg -h off 명령어를 실행하면 됩니다. 이로 인해 hiberfil.sys 파일이 삭제되며 디스크 공간이 늘어납니다. 하지만 작업 상태 복원 기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만 비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시 동일한 명령어로 다시 활성화할 수도 있습니다.
3.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조치 방법
디스크 용량이 부족할 경우, 저장소 관리와 비필수 기능 제거가 중요합니다. 특히 SSD의 경우 여유 공간이 적을수록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쉽습니다. 이는 디스크가 데이터 쓰기와 읽기 작업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일정한 여유 공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입니다.
- 예약된 저장소 비활성화: 약 7GB의 공간 확보.
- 최대 절전모드 비활성화: 1~2GB 추가 공간 확보.
- 임시 파일 제거 및 디스크 정리 도구 사용: 시스템 최적화 및 추가 공간 확보.
디스크 용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면 전반적인 시스템 속도와 응답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4. 예약된 저장소와 최대 절전모드 활용
예약된 저장소와 최대 절전모드의 비활성화 여부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다릅니다. 디스크 용량이 충분하고 안정적인 업데이트와 성능이 중요하다면 이 두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저장 공간이 부족하거나 시스템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 이 기능들을 비활성화하여 효율적인 디스크 관리가 가능합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파일 삭제하는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1.03.02 |
---|---|
윈도우 업데이트 이후 윈도우가 손상된 원인(feat. 손상 방지 방법) (0) | 2021.03.01 |
윈도우10 내PC 3D 개체 폴더 삭제하는 방법 (0) | 2021.02.28 |
윈도우 로그인 후 화면 깜빡거림 문제 해결 방법 (0) | 2021.02.27 |
Diskpart 명령어 주의 사항 및 사용 방법 (0) | 2021.02.24 |
용량이 가득 찼을 때 용량 확보를 위해 파일 삭제(.feat 이미 늦음) (0) | 2021.02.20 |
블루스크린 오류코드 0x000000F4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1.02.20 |
윈도우 업데이트 서비스 중 하나가 제대로 실행 오류 문제 해결 방법 (1) | 2021.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