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스크린은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겼을 시 나타내는 화면입니다. 그 중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블루스크린 코드에 대해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블루스크린의 발생원인은 메인보드와 하드웨어 간에 수신에 문제가 생겼을 때 띄우는 코드입니다. 이 코드는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겼을 때 띄웁니다.
보통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는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코드 한 개만 나타나게 됩니다. 그러나, 하드웨어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만 아니라 다른 코드도 연달아 생기게 됩니다.
보통 소프트웨어의 문제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하드웨어 문제라기 보다는 소프트웨어 쪽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 블루스크린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발생하는 원인
- 윈도우 업데이트 후
-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
보통 이 2가지 이후에 생기게 되는데, 이는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서 문제가 생긴 것도 아닌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서 생긴 문제도 아닙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나 드라이버 업데이트 후에 생겼는데 왜 이 문제들이 아니야? 라는 답변에는 아래 글을 계속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를 해서 문제가 생긴 것도 아닌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서 생긴 문제가 아닌 이유
→ 일반적으로 윈도우 업데이트는 Insider 버전이 있어 업데이트 자체에 문제가 있을 경우는 적습니다. 참가자들을 모집해 업데이트 전 버전을 사용하게 하고 문제가 생긴 경우 조치를 짧게는 반년 전 ~ 길게는 1년 전 부터 조치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해당 문제가 생긴 경우 다른 유저들도 똑같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야 겠죠?
드라이버 업데이트 이후 발생한 원인도 아닌 이유는 그 버전에 대해서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이 경우는 다른 문제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해서가 아니라 애초에 윈도우가 메인보드를 고려하지 않고 설치가 이뤄져 메인보드와 하드웨어 간에 수신 오류가 생겨 하드웨어를 인식해주는 드라이버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입니다.
즉,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문제 시에는 명령 프롬프트 창을 띄워 chkdsk /f를 입력 후 재시작 해주면 일시적으로 해결은 됩니다. 그러나, 일시적인 것이지 추후 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해결 방법은 애초에 윈도우가 메인보드를 고려하지 않고 설치된 것이므로 제대로 설치가 이뤄져야 [critical_structure_corruption] 문제는 완전히 해결될 수 있습니다.
미리 데이터들은 다른 저장매체에 백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데이터는 소멸됩니다.
순차적으로 1~3번까지 따라해 윈도우를 제대로 다시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서비스를 모두 사용 안함으로 해도 다시 켜지는 특정 컴퓨터 이유 추측 (0) | 2021.07.21 |
---|---|
iOS의 App Store 앱 설치 시 "이 계정은 대한민국 스토어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0) | 2021.07.18 |
윈도우 10 설정 창 "이 파일과 연결된 앱이 없습니다" 원인 및 해결방법 (2) | 2021.07.17 |
아이패드 사용 시 애플펜슬 연결 및 인식 문제 해결방법 (0) | 2021.07.15 |
갑자기 구글 크롬의 속도가 저하된 경우 조치 방법 (0) | 2021.07.12 |
윈도우 11 작업 표시줄 위치 변경하는 방법 (0) | 2021.07.11 |
애드가드(ADGuard) 사용 시 특정 사이트 진입이 안되거나 항목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 (0) | 2021.07.10 |
구글 크롬에서만 일부사이트가 로딩이 되지 않는 이유 및 해결방법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