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진 설치를 위해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를 진행하려는데, "VCRUNTIME140.dll이(가) 없어 코드 실행을 진행할 수 없습니다. 프로그램을 다시 설치하면 이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타나면서 OriginThinSetup.exe 시스템 오류를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습니다.
■ 오리진 설치 중 OriginThinSetup.exe - 시스템 오류 발생원인
이 경우는 대게 MSVCP140.dll 오류도 같이 범하게 되는데 이 공통점은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Visuallbasic 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
즉, 이 문제는 해결 다소 쉽게 이뤄집니다.
■ 오리진 설치 중 OriginThinSetup.exe - 시스템 오류 해결방법
비주얼 베이직은 넷 프레임워크라고 불리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주어야 해결이 이뤄집니다.
아래의 구글 드라이브에 공유된 파일 4개를 모두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vc_redist.x86"와 "vcredist_x86"는 윈도우 10 이상 버전에서는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설치가 이뤄지며, "NDP461-KB3102436-x86-x64-AllOS-ENU"와 "dotNetFx40_Full_x86_x64"는 설치가 이미 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설치가 되어 있다면 무시하시면 됩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yKef9nmPxfB4UDP43tk5xiC3mqMznFJs/view?usp=sharing

VCRUNTIME140.dll을 위한 파일 4개.zip
Visual Basic C++ 버전 별로 모아둔 파일들입니다.
drive.google.com
§ 오리진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넷 프레임워크 4개
아래에 보이는 4개의 프로그램을 설치가 되는 것들만 해주시면 됩니다.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코드 0x80071a91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08.04 |
---|---|
윈도우 종료 시 앱을 닫고 종료합니다 나타나지 않게 설정 방법 (0) | 2022.08.03 |
블루스크린 dxgmms1.sys 오류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08.03 |
배틀필드 2042 DXGI_ERROR_DEVICE_HUNG 오류 원인 및 해결방법 (4) | 2022.08.01 |
윈도우 10, 11 설치 화면에서 키보드 · 마우스가 먹통인 이유 (0) | 2022.07.27 |
LG 톤프리 TFP9 한쪽 연결 안될 때 해결 방법 (TONE-TFP9) (0) | 2022.07.25 |
부팅 시 Realtek PXE - No Boot Device Found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07.21 |
아이패드 사파리 앱 아이콘, 폰트 깨짐 현상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 (0) | 2022.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