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블루스크린은 한 번쯤 겪어 보신 적이 있을거에요. 그 중 0x000007B 블루스크린에 대해서 설명드릴려고 합니다. 0x00000로 시작하거나 0xc0000로 시작하는 것은 하드웨어 장치 오류나 Windows 부팅 파일이 손상되어 부팅을 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블루스크린입니다.
블루스크린 0x000007b 오류 발생원인 및 IDE 드라이버와의 연관성
0x000007b의 경우는 하드웨어 장치 오류에 포함되는 블루스크린 코드입니다. 이 오류는 Windows 7~Windows 10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IDE 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경우 발생하게 됩니다.
블루스크린 0x000007b 오류 - IDE 드라이버 역할
IDE 드라이버는 채널 드라이버라고도 불리는데, 포트 드라이버는 CDB를 재포장하여 ATAPI 전송 프로토콜과 호환되도록 하여 IDE 버스의 특수성으로부터 상위 수준 드라이버를 격리합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할 때는 SSD와 HDD 인식에 관여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블루스크린 0x000007b 오류 - 발생원인
Windows 10에서 생기는 0x000007b 블루스크린은 Windows 10을 설치할 때 구형 방식의 설치 USB(정품 USB 및 MBR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에 신형 메인보드에서 하드웨어(부품)에 대한 인식장애가 나타나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UEFI 메인보드 + GPT 설치 USB
- 레거시 메인보드 + MBR 설치 USB
즉, 요즘 신형 메인보드에는 정품 구매 시 지금되는 USB를 사용해서는 안 되고 MBR로 제작된 제품을 사용해서도 안됩니다. 정품 USB는 구형 보드에 맞는 MBR 방식으로 제작되었으며 17년에만 출시되고 그 이후로는 직접 제작하는 방식으로 바뀐지 오래됐습니다.
이때, 시스템 복원 시점을 통해 돌리면 해결이 되는 듯하지만 Windows 업데이트가 백그라운드로 다시 진행되어 버리면 다시 똑같은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시스템 복원 시점은 해결방법이 아닌 임시 조치 방법입니다.
블루스크린 0x000007b 오류 해결방법
Windows 설치 USB를 메인보드에 맞게 새로 제작 후 Windows 설치를 아예 새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보통 UEFI 메인보드에 MBR 구조로 제작된 설치 USB를 사용해서 이러한 문제가 생기는 것이 다반사이기 때문에 GPT로 제작 후 바이오스에 CSM을 사용 안 함으로 설정 → 운영체제가 설치될 디스크는 GPT 구조로 변환하는 명령어를 주어야 합니다. 이 때 모든 데이터는 소멸 됩니다.
- 설치 USB GPT로 제작
- 바이오스의 CSM을 Disable 혹은 UEFI로 변경
- 설치 화면 > 파티션 화면 > 디스크 GPT 변환 작업
- 설치
이렇게 이뤄져야 Windows 7 이상에서 나타나는 블루스크린 0x000007B가 해결이 됩니다.
(UEFI 지원 메인보드) Windows 10 설치USB 제작~포맷 후 Windows 설치 방법
대부분의 네이버 블로그, 유튜버들이 소개하는 방법은 틀린 내용이 많습니다. 무작정 마이크로소프트 회사의 설치USB 툴(설치미디어)을 이용해 설치 USB를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하는데 이렇게하
goaway007.tistory.com
'컴퓨터와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품인증된 컴퓨터의 정품인증 키를 다른 컴퓨터로 옮기는 방법 (0) | 2022.04.20 |
---|---|
서든어택 에러 error loading render dll lnit failed 해결방법 (0) | 2022.04.16 |
파일 속성에서 만든날짜·수정한 날짜·액세스 날짜 변경되지 않는 이유 (4) | 2022.04.15 |
블루스크린 atikmdag.sys 발생원인 및 해결방법(ft.그래픽카드) (0) | 2022.04.08 |
윈도우 10 정품인증 오류 0x8007000D 원인과 해결 방법 (2) | 2022.04.05 |
집에서는 컴퓨터 부팅이 이뤄지지 않는데, 업체 방문 시에는 켜지는 이유 (2) | 2022.04.03 |
바이오스 진입이 되지 않을 때 윈도우에서 바이오스 진입 방법(ft.명령어) (2) | 2022.04.02 |
아이패드 사파리 사용 시 상품평 오류 및 결제 문제 해결 방법 (1) | 2022.03.31 |